절대 코딩하지 마라
"코딩은 늦게 할수록 프로젝트가 빨리 끝난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프로젝트 일정이 촉박하면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하곤 한다. 코딩을 빨리 시작하면 프로젝트가 빨리 끝날 것으로 믿곤 한다. 말은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일정이 부족하면 문서 작성할 시간도 없고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한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 대충해도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프로젝트를 예로 들어서 모든
"코딩은 늦게 할수록 프로젝트가 빨리 끝난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프로젝트 일정이 촉박하면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하곤 한다. 코딩을 빨리 시작하면 프로젝트가 빨리 끝날 것으로 믿곤 한다. 말은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일정이 부족하면 문서 작성할 시간도 없고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한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 대충해도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프로젝트를 예로 들어서 모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시스템들이 있다. 이것을 기반시스템, 영어로는 Infrastructure system이라고 한다. 기반 시스템은 수십 가지 종류가 있지만 회사 규모나 성격에 따라 꼭 필요한 것이 다르다. 꼭 필요한 기반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거나 규모에 맞지 않게 많이 사용하는 것 모두 문제다. 그리고 제대로 사용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회사 규모가 크면 좀더 많은 기반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소프트웨어 회사의 경영자는 항상 개발자 수급을 고민한다. 우수한 인재를 싸게 쓰고 싶지만 좋은 개발자를 찾기도 어렵고 인건비가 여간 비싼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발자 입장에서는 많지 않지만 경영자는 반대 입장이다. 그러다 보면 저렴하고 우수한 외국인 개발자를 쓰고 싶은 욕구가 생겨난다. 중국이나 인도 개발자들은 평균적으로 인건비가 국내 개발자보다 저렴하고 실력도 뛰어나다. 그래서 실제로 많은 회사들은 외국인
스타트업의 젊은 경영자 중에는 관리 경험이 부족하여 조직관리에 취약한 사람이 많다. 반대로 관리 경험이 많거나 특히 조직관리가 아주 철저한 대기업 출신들은 종종 스타트업에 걸맞지 않은 부담스런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떨어뜨리곤 한다. 그럼 스타트업은 어떤 조직관리가 적합할까? 일반 기업에 적합한 조직관리 기법은 소프트웨어 회사와 맞지 않는다. 특히 작은 조직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대로 취미생활 하듯 조직을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두 가지 필수 요소를 꼽으라면 좋은 아이디어와 뛰어난 개발자이다. 개발자가 스스로 창업을 하기도 하지만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개발자 파트너를 물색하기도 하고 본인이 개발자라고 하더라도 추가로 개발자 파트너를 찾기도 한다. 좋은 개발자는 스타트업의 성공의 중요한 열쇠이지만 구하기 쉽지 않다. 또한, 어떠한 개발자가 스타트업에 꼭 필요한 개발자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실력이 뛰어나 보이지만 막상 일을 그르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