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필자가 CEO로 있는 회사에서는 2015년 여름까지 K수석연구원이 개발실장 역할을 맡고 있었다. K수석은 경력이 20년이 넘고 개발은 매우 잘 하지만 관리는 싫어하는 천상 개발자다. 하지만 회사에서 개발실 관리를 맡기니 어쩔 수 없이 관리를 해야 했고 보고서 작성, 회의 등으로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내고 정작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는 개발 일은 거의 못했다. 그래서 스트레스도 매우 심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개발자 경력이 10년쯤 되면 팀장, 실장 등 여러 가지 타이틀로 관리에 발을 들인다. 개발자가 일단 “장” 타이틀을 달기 시작하면 커리어가 꼬이기 시작한다. 그럴듯한 보고서도 만들어서 경영진에게 보고도 해야 하고 회의도 많아져서 개발을 할 시간이 점점 줄어든다. 일단 관리에 발을 들이게 되면 관리에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고 기술과는 점점 멀어지고 어정쩡한 관리자로 자리를 잡게 된다. 그런데 전문성이 별로 없는 일반 관리자가 될 뿐이다. 다시 개발자로 돌아오지도 못한다. 그러다가 못 버티는 개발자들은 업계를 떠나 치킨집을 차리기도 한다.
이렇게 고참 개발자에게 본인의 의사에 반해서 관리를 맡기면 회사는 무엇을 얻게 되는가?
회사에서 가장 뛰어났던 SW 개발자들이 잘 하지도 못하고 전문성도 없는 관리 일을 기웃거리다가 대부분 밀려나게 된다. 그럼 개발자는 10년을 넘어가면 더 이상 개발을 못하는 것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계속 개발에만 매진한다면 10년, 20년, 30년 경력이 쌓일수록 실력이 향상된다. 단지 회사에서 개발자 경력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의 경력을 지키지 못할 뿐이다.
개발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알고리즘 개발자, 이미지 프로세싱 전문가, 커널 개발자 등 다양한데 이들에게 고참이 되었다고 관리, 사업, 경영을 하라고 회사에서 압박을 하는 것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관리자로서 실패한다. 원래부터 그쪽으로는 영 소질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조직에서 힘있는 위치이기 때문에 관리도 잘 못하고 망치고 있어도 팀원들은 불만을 얘기하지 못하고 경영자는 이들이 회사를 망치고 있다는 것을 잘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들은 조직문화의 피해자이며 가해자가 된다.
이렇게 뛰어난 고참 개발자들이 사라지는 회사는 개발 생산성이 낮아 질 수 밖에서 없다. 어떤 경영자는 밤을 새워 가며 일할 수 있는 젊은 개발자를 더 선호하지만 SW는 작업시간이 생산성과 비례하지는 않는다. 창의적 지식산업인 SW개발에서는 시니어 개발자가 주니어 개발자보다 몇 배 더 뛰어난 것이 일반적이다. 시니어 개발자일수록 회사에서 잘 지켜내야 한다. 그래서 실리콘밸리에서는 60세가 넘는 개발자를 보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럼 우리나라에서는 개발자 경력 보장이 왜 잘 안될까? 뿌리깊은 상하관계 위주의 조직문화가 중요한 이유다. 관리자가 윗사람으로서 팀원에게 지시를 하고 팀원은 이를 따라야 한다. 그런 조직에서 일하다 보면 왠지 팀장 등 관리자가 되어야 승진을 한 것 같고 힘도 생기며, 팀원으로 계속 남아 있으면 피곤해진다. 이런 상하관계 조직문화가 계속 남아있는 회사에서는 개발자의 경력을 보장하기는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발자의 분포가 나이 들수록 개발자의 인원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위가 뾰족한 삼각형 모양이다. 하지만 구글 등의 글로벌 회사들은 나이에 따른 개발자 인원수가 사다리꼴에 가까운 네모 모양이다. 즉 개발자들은 꾸준히 자신의 경력을 보장 받으며 실력을 키워간다는 것이다. 그런 회사와 어떻게 개발 실력으로 경쟁이 되겠는가?
그럼, 과거 우리 회사는 어떤 상황이었을까?
개발실의 고참들은 실장, 팀장의 이름으로 관리에 바빴고 개발과는 점점 멀어지고 있었다. 또한 회의와 보고에 불려 다니느라고 정신 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래도 다시 팀원이 되라고 하면 좋아하지 않을 상황이었다. 팀장이 되어야 연봉도 더 오르고 행정적인 파워도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먼저 개발실 내에서 “상하 관계 철폐”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제도를 바꾸고 마인드를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개발팀장의 인원수도 대폭 줄이고 팀장의 역할도 최소한의 결재로 축소를 했다. “직급”도 거의 통일해서 대부분의 개발자가 “책임연구원”이 되어 호칭도 수평적으로 바뀌었다. 개발팀장도 95%의 시간을 순수 개발에 투입하도록 했다. 개발자들에 대한 개별 관리는 완전히 제거를 하고 스스로 일하게 했다.
PM조직을 신설하고 전문PM을 영입했고 전문PM이 프로젝트 관리를 전담하게 했다. PM과 개발자는 완전히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했고, 개발팀 내에서도 누가 윗사람이라는 의식은 거의 없어졌다. 각자 전문분야가 다른 전문 개발자들일 뿐이다. 직급통일로 위아래 구분도 어려워졌다. 어린 PM과 나이 많은 개발자가 같이 일하는데 거북함은 없는 분위기다.
이제 개발도 하고 관리도 하는 어정쩡한 개발자는 없으며 채용도 하지 않는다. 20년 경력의 개발자를 채용할 때도 코딩테스트는 필수다. 날고 긴다는 개발자도 코딩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입사를 할 수 없다. 그리고 개발자들도 원한다면 평생 개발을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관리자가 되고 싶어하는 개발자는 이제 거의 없다.
물론 단 몇 개월 만에 조직 문화와 모든 직원들의 마인드까지 완전히 바꾸는 것은 쉽지 않고 끊임없이 과거의 습관들이 튀어나올 수 있다. 스스로 일하는 문화는 적응이 어렵고 윗사람이라는 권위의식도 한번에 없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수많은 기업들이 개발자 경력보장을 제도로 만들어도 고착된 문화에 가로막혀 정착이 잘 안 된다. 필자의 회사 내에서도 수평적인 조직과 전문가 중심의 조직을 유지 발전 시키기 위해서 끊임 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그런 노력이 소홀해지면 순식간에 과거로 회귀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공든 탑을 쌓는 것은 어렵지만 무너지는 것은 순식간이다.
우리나라도 개발자가 선택에 의해서 안심하고 평생 개발자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만 한다. 여러 기업 문화가 서로 얽혀 있어서 하나만 바뀐다고 이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는다. 앞으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한 최소한으로 바뀌어야 하는 기업문화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계속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이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글입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