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mond

홈으로|Raymond

About Raymond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Raymond has created 153 blog entries.

1:10:100 rule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꼭 알아야 할 규칙이 하나 있다. 바로 "1:10:100 rule"이다. 성숙한 개발문화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전 직원들이 진정으로 그 의미를 알고 있고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 임직원들은 그 의미를 모르거나 알고 있어도 단어의 의미로만 알고 있고 진정으로 깨우치고 있지는 못하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많은 비효율과 문제들이 바로 여기서

By |2020-07-03T16:35:53+09:002월 5th, 2013|Blog|0 댓글

재택근무가 가능한가?

우리 주변에는 비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가지고 있는 회사들이 매우 많다. 상상외로 많다. 스스로의 회사는 어떤가 생각해 보자. 나름대로 효율적인 개발문화를 가지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을 것이다. 그래서 과연 우리회사가 제대로 효율적인 개발문화와 환경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이렇게 비교를 해보자. 당장 우리 회사의 개발자들이 모두 재택근무를 하면 어떻게 될까? 그리고 일주일에 딱 하루만 회사에 나와서 필요한

By |2020-07-03T16:40:21+09:001월 22nd, 2013|Blog|0 댓글

티끌모아 태산 (개발 시간 절약하기)

성숙된 개발문화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개발 절차가 아주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회사들은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시간이 아주 많다. 10초에서 몇십분까지 자잘한 시간을 낭비해서 이것들을 합치면 어마어마한 시간이 낭비된다. 시간을 꼭 사용해야 할 중요한 곳에는 아끼지 말고 시간을 써야 한다. 하지만 자동화를 하거나 시스템이 커버를 할 수 있는데 사람이 반복적으로 하고 있거나 과도한 안전장치를 갖춘

By |2020-07-03T16:38:59+09:001월 20th, 2013|Blog|0 댓글

개발자, 회사의 과거인가 미래인가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면서 서로 상반된 2가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과거의 가치’이고 두 번째는 ‘미래의 가치’이다. 나는 과거의 개발자일까? 미래의 개발자일까? 스스로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동료나 경영진에게 내가 퇴사를 하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을 해보면 짐작할 수 있다. 내가 퇴사를 하면 과거에 개발해 놓은 제품들을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면 ‘과거의

By |2020-07-03T16:41:34+09:0012월 6th, 2012|Blog|0 댓글

전지전능한 슈퍼 개발자의 역설

필자는 여러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많은 개발자를 만난다. 그러면 보통 회사에 한두명씩 전지전능한 슈퍼 개발자가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들은 코딩, 설계, 분석, 테스트, 기획, 고객 전화응대, 고객 지원, 프로젝트 관리, 일반관리, 전략 수립 등 엄청나게 많은 일을 한다. 직책은 대부분 팀장이다. 여러분의 회사에도 이런 개발자가 한두명씩은 있을 것이다. 이들이 여러분의 롤모델인가? “나도 그런 전지전능한 개발자가

By |2020-07-03T16:42:20+09:0011월 22nd, 2012|Blog|0 댓글

지금은 바빠서 못한다.

지금은 바빠서 못하고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할 것이다. 비단 소프트웨어 개발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런 말을 달고 사는 사람들을 자주 본다. 이런 사람들이 특징은 시간적인 여유가 생겨도 거의 대부분 안하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운동, 공부, 다이어트, 취미생활 등 이런 핑계를 대는 대상은 다양하다. 영어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A stitch in time saves nine" 직역하면 "필요할 때

By |2020-07-03T16:43:25+09:0011월 13th, 2012|Blog|0 댓글

내가 책임지고 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경영자들은 "내가 책임지고 해보겠습니다."라는 말을 좋아한다. 물론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추진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 엄밀히 말하면 제대로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책임을 지겠다고 말만하는 꼴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무모하더라도 추진력있게 밀고 나갈 사람이 인기가 많다. 경영자들이 이런 돌격형 인재를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실제 좋은 성과를 내는 경우도 많지만

By |2020-07-03T16:44:15+09:0011월 5th, 2012|Blog|0 댓글

절대 코딩하지 마라

"코딩은 늦게 할수록 프로젝트가 빨리 끝난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프로젝트 일정이 촉박하면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하곤 한다. 코딩을 빨리 시작하면 프로젝트가 빨리 끝날 것으로 믿곤 한다. 말은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일정이 부족하면 문서 작성할 시간도 없고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한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 대충해도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프로젝트를 예로 들어서 모든

By |2020-07-06T17:03:20+09:0010월 29th, 2012|Blog|0 댓글

스타트업에서 SW 개발에 꼭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시스템들이 있다. 이것을 기반시스템, 영어로는 Infrastructure system이라고 한다. 기반 시스템은 수십 가지 종류가 있지만 회사 규모나 성격에 따라 꼭 필요한 것이 다르다. 꼭 필요한 기반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거나 규모에 맞지 않게 많이 사용하는 것 모두 문제다. 그리고 제대로 사용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회사 규모가 크면 좀더 많은 기반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By |2020-07-03T16:46:42+09:0010월 25th, 2012|Blog|0 댓글

한국에서 외국인 개발자가 일하기 어려운 이유

소프트웨어 회사의 경영자는 항상 개발자 수급을 고민한다. 우수한 인재를 싸게 쓰고 싶지만 좋은 개발자를 찾기도 어렵고 인건비가 여간 비싼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발자 입장에서는 많지 않지만 경영자는 반대 입장이다. 그러다 보면 저렴하고 우수한 외국인 개발자를 쓰고 싶은 욕구가 생겨난다. 중국이나 인도 개발자들은 평균적으로 인건비가 국내 개발자보다 저렴하고 실력도 뛰어나다. 그래서 실제로 많은 회사들은 외국인

By |2020-07-03T16:48:03+09:0010월 23rd, 2012|Blog|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