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s

Blogs2022-07-25T11:19:44+09:00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전규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1212, 2013

SW개발, 맥가이버식 전문가가 위험한 이유(개발문화 시리즈8)

By |12월 12th, 2013|Categories: Blog|0 Comments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전문가문화'다. 어떤 개발자가 국내 유수의 소프트웨어 기업에 취업하려고 한다고 가정 해보자. 개발자가 수백명에 달하는 이 회사에 지원을 하면서 본인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고 보자. “저는 빌드 전문가입니다. 빌드 기술 연구와 실무 경험이 5년이나 됩니다.” 그럼 이 개발자는 취업에 성공할 수 있을까? 모든 회사가 상황은 아니지만 이 개발자가 주장하는

412, 2013

회의 많았던 SW 개발 회사의 비극(개발문화 시리즈7)

By |12월 4th, 2013|Categories: Blog|0 Comments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회의 문화'다. 회의 문화는 IT 분야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이미 많은 논의가 있었고, 회의 문화가 개선된 회사들도 많다. 그러나 변화가 필요한 회사들도 아직 많다. 회의가 많은 회사는 망한다는 속설도 있는데, 하루종일 회의하느라 정작 일은 퇴근 시간 지나서야 할 수 있다고 하소연하는 고참 개발자나 팀장들을 많이 봤다. 회의를

2611, 2013

SW개발과 규칙의 두얼굴 (개발문화 시리즈6)

By |11월 26th, 2013|Categories: Blog|0 Comments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규칙 준수 문화'다. 우리 주변에서 규칙을 무시하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듯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도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일은 자주 벌어진다. 물론 규칙을 정말 상세히 정하고 모든 사람이 규칙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고 더 잘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 강조하지만 규칙은 최소한으로 정해야 하고 성숙된 개발문화에 의한 개발이 더

1911, 2013

서열문화가 SW산업 망친다. (개발문화 시리즈5)

By |11월 19th, 2013|Categories: Blog|0 Comments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서열이 지배하는 조직문화'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서열을 매우 중요시 한다. 사람들이 모이면 서로 나이를 비교하고 서열을 정한다. 회사에서도 대리, 과장, 부장이 되려고 열심히 일한다. 직급에 따라 업무가 달라지고 급여도 서열에 비례한다. 물론 많은 변화가 있어 왔지만 뿌리깊게 자리 잡은 서열문화의 뿌리는 여전히 튼튼하다. 소프트웨어 산업에서도 서열 문화는 조직

1811, 2013

SW개발의 8:2 법칙, 그리고 불편한 진실 (개발문화 시리즈4)

By |11월 18th, 2013|Categories: Blog|0 Comments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가내 수공업식 개발문화'다. 즉, 8:2 법칙에 관한 이야기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시스템과 개발자에 의존하는 비율이 8:2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다른 분야는 어떨까? 예술적일수록 시스템에 의존하는 비율이 낮고, 체계화되고 규모가 클수록 시스템 비율이 높아져서 인력에 대한 유연성은 증가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이다. 즉, 개발자이다.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