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SW개발과 빨리빨리 문화의 저주(개발문화 시리즈3)
이번에 다룰 개발문화 이야기는 '빨리빨리 문화'다. 일을 빨리 하자는게 나쁜 건 아니다. 오히려 이런 '빨리빨리 문화' 덕분에 우리나라가 짧은 기간에 성장했을지도 모른다. 더 짧은 시간에 똑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은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많은 산업분야에서 '빨리빨리 문화'의 혜택을 입었고, 관련 노하우도 많다. 그런데, 이런 '빨리빨리 문화'가
부실한 공유문화를 지배하는 개발자의 심리 (개발문화 시리즈2)
본격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문화에 대해서 얘기해보자. 첫번째는 ‘공유의 문화’다. 회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부실한 공유 문화는 많은 부작용의 원천이다. 여러 사람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따른 장점은 여러가지다. 다양한 시각을 가진 이들의 의견이 반영되면서 프로젝트 리스크가 감소되는 건 물론 개발자는 자신이 해왔던 과거업무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반대로 공유문화가 부실한
왜 적은 인원으로 빨리 개발하나…개발문화의 비밀 (개발문화 시리즈 1)
우리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 3D 취급을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끝을 모를 야근과 낮은 대우 등도 포함되겠지만 좀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낮은 생산성 때문이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회사가 돈을 많이 벌고 세계적으로 성공하는 소프트웨어가 많이 나온다면 생산성의 핵심인 개발자에게 당연히 높은 대우를 해주게 마련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성공한 소프트웨어 회사가 많지 않다.
소스코드가 없어졌다.
필자는 소스코드가 없어진 Software 회사를 여러번 보았다. 물론 회사의 전체 소스코드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일부 소스코드가 없어져서 낭패를 보는 경우는 매우 흔하다. 소스코드는 어떻게 없어지게 될까? 물론 아래 모든 경우는 전사적인 소스코드 관리 및 백업을 받지 않은 경우에서 발생한다. 1. 하드디스크가 망가졌다. 하드디스크는 그렇게 믿을 만한 미디어가 아니다. 어느날 갑자기
대한민국 개발자가 불행한 이유
미국에서 과거 10년 넘게 최고의 직업에 항상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아키텍트가 자리하고 있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보면 격세지감을 느낀다. 10개나 100개 직업 중에 1위가 아니고 몇 만개의 직업 중에 1위라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그렇게 인기가 있는 직종이 아니다. 의사, 변호사와 비교는 고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