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내가 책임지고 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경영자들은 "내가 책임지고 해보겠습니다."라는 말을 좋아한다. 물론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추진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 엄밀히 말하면 제대로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책임을 지겠다고 말만하는 꼴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무모하더라도 추진력있게 밀고 나갈 사람이 인기가 많다. 경영자들이 이런 돌격형 인재를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실제
절대 코딩하지 마라
"코딩은 늦게 할수록 프로젝트가 빨리 끝난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프로젝트 일정이 촉박하면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하곤 한다. 코딩을 빨리 시작하면 프로젝트가 빨리 끝날 것으로 믿곤 한다. 말은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일정이 부족하면 문서 작성할 시간도 없고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한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 대충해도 되는 경우가 많다.
스타트업에서 SW 개발에 꼭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시스템들이 있다. 이것을 기반시스템, 영어로는 Infrastructure system이라고 한다. 기반 시스템은 수십 가지 종류가 있지만 회사 규모나 성격에 따라 꼭 필요한 것이 다르다. 꼭 필요한 기반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거나 규모에 맞지 않게 많이 사용하는 것 모두 문제다. 그리고 제대로 사용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회사 규모가 크면 좀더
한국에서 외국인 개발자가 일하기 어려운 이유
소프트웨어 회사의 경영자는 항상 개발자 수급을 고민한다. 우수한 인재를 싸게 쓰고 싶지만 좋은 개발자를 찾기도 어렵고 인건비가 여간 비싼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발자 입장에서는 많지 않지만 경영자는 반대 입장이다. 그러다 보면 저렴하고 우수한 외국인 개발자를 쓰고 싶은 욕구가 생겨난다. 중국이나 인도 개발자들은 평균적으로 인건비가 국내 개발자보다 저렴하고 실력도 뛰어나다.
스타트업을 위한 조직론
스타트업의 젊은 경영자 중에는 관리 경험이 부족하여 조직관리에 취약한 사람이 많다. 반대로 관리 경험이 많거나 특히 조직관리가 아주 철저한 대기업 출신들은 종종 스타트업에 걸맞지 않은 부담스런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떨어뜨리곤 한다. 그럼 스타트업은 어떤 조직관리가 적합할까? 일반 기업에 적합한 조직관리 기법은 소프트웨어 회사와 맞지 않는다. 특히 작은 조직에는 적합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