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Agile이 우리 회사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까?
소프트웨어 공학이라는 용어는 사용하기가 상당히 꺼려진다. 소프트웨어 공학이라는 용어를 듣는 사람들이 많은 오해를 하기 때문이다. 일단 듣는 순간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 소프트웨어 공학이 무엇인지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생각하고 있다. 그럼 스스로 소프트웨어 공학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골라보자. 소프트웨어 공학이란?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이다. 고객이 만족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소프트웨어를
바람직한 스타트업 SW 개발문화의 조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가장 큰 취약점 하나만 꼽으라고 하면 나는 개발문화를 꼽겠다. 문화란 오랫동안 습득된 구성원들의 공통된 행동 양식이기 때문에 개인이 전체의 문화를 짧은 시간에 바꾸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조직이 크면 클수록 문화를 바꾸는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개발문화의 개선 없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얘기하기가 어렵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너무
고객이 전문가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환경의 문제점 중 하나가 고객이 잘 모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공공 SI 프로젝트의 경우 발주처인 공공기관의 담당자가 SI회사의 개발자들보다 업무를 잘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공무원들은 몇년만다 한번씩 자리를 옮기기 때문에 자신의 업무를 빠삭하게 알지 못하고 SI회사에 많이 의지하게 된다. SI회사에서는 해당 분야의 업무만 오랫동안 개발해온 개발자들이 있어서
회의록 작성 문화를 보면…
회의를 하면서 회의록을 작성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는 회사들이 매우 많다. 회의록을 아예 작성하지 않는 회사도 있고, 작성을 해도 전혀 뒷처리가 안되는 회사도 있다. 회의는 회사의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며 중요한 결정을 하고 부서간의 의견을 조정하고 업무를 나누고 서로 협업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런데 회의는 회의대로 진행하고 후속 조치를 제대로
Technical Career Path를 보장하는 방법
그 동안 개발자 경력에 대한 글들을 여러 건 작성했다. 많은 독자들이 문제 인식에 공감을 했지만 여전히 해결책은 쉽지 않다. 그래서 여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어떻게 하면 Technical Career Path를 보장할 수 있을까? 첫째, 경영자 의식의 변화이다. 경영자가 개발자의 경력을 보장하는 것이 회사에 얼마나 큰 이득이 되는지 깨닫지 못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