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s

Blogs2022-07-25T11:19:44+09:00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전규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3008, 2012

요구사항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스펙을 적을 수 없다.

By |8월 30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스펙을 제대로 적지 않는 회사들에게 그 이유를 들어보면 여러가지가 있다. 1. 프로젝트 기간이 너무 짧아서 스펙을 적을 시간이 없다. 2. 프로젝트가 너무 복잡해서 적어야 할 것이 너무 많아서 적을 수 없다. 3. 요구사항을 계속 바꿔서 스펙을 적을 수가 없다. 위의 어떠한 이유도 적절한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오직

2708, 2012

주먹구구식 개발이 통하는 이유

By |8월 27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우리나라의 많은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주먹구구식 개발에 대한 환상이 있다. 특히, 첫번째 시스템을 주먹구구식으로 개발을 해서 성공했는데 지금은 좀더 체계를 갖췄는데 더 개발이 잘 안된다면 과거 진짜 주먹구구식으로 개발할 때를 그리워하고 그 때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여기 이와 관련된 과거 글이 있다. 2012/07/26 - [소프트웨어이야기] - 옛날에는 개발을 더 잘했는데 주먹구구식으로

2308, 2012

소프트웨어 회사에서의 관리란?

By |8월 23rd,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소프트웨어 회사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전통적인 관리와는 좀 다른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 상하관계 탈피이다. 전통적으로 관리자는 윗사람이고 팀원들은 관리자의 지시를 따르고 관리자가 거의 모든 것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관리자는 기술적인 결정을 할 수 없다. 개발자 출신이라고 기술적인 결정도 하려 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술적인 결정은 개발자의 몫이다. 그리고

2108, 2012

유지보수의 거미줄에 걸린 고참들

By |8월 21st,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고참은 유지보수를 하고 신참들이 신제품을 개발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고참들이 경험도 많고 신제품을 만드는데 더 적임이지만 그럴 수 없는 이유가 있다. 기존 제품의 유지보수에서 도저히 빠져나갈 수 없는 것이 그 한 이유이다. 간단한 업그레이드가 아니고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만들려고 하는 이유도 기존 제품이 유지보수가 너무 복잡하고 기능을

1508, 2012

7명이 할 수 있는 일을 70명이 하고 있는 이유

By |8월 15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최근에 한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Y사, 가칭)의 한국 지사 관계자에게 들은 이야기이다. 비단 Y사 얘기만은 아니다.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의 한국지사에서 종종 벌이지는 일이다. Y사의 본사에서는 처음에 한국지사를 만들었을 때 한국에서도 미국의 개발 프로세스를 따를 것을 종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채용된 개발자들은 미국의 개발 프로세스는 너무 무겁다고 한국 방식으로 개발했다고 주장을 했다.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