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s

Blogs2022-07-25T11:19:44+09:00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전규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908, 2012

해외 진출하는 족족 실패하는 이유

By |8월 9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대한민국 이름을 걸고 해외에서 크게 성공한 Software가 없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내가 아는 한 그런 Software가 없다. 그런 Software가 있다면 알려주기 바란다. 게임 등 일부 분야에서는 성공 사례가 있지만 일부 특수 분야의 일이다. 그렇게 실패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내가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초 역량이

608, 2012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나아갈 길

By |8월 6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경력이 제대로 보장 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회사, 사회, 문화의 문제 때문이다. 그렇다고 개발자 된 입장에서 회사가 바뀌고 사회가 바뀌기만을 기다릴 수는 없다. 이는 마치 닭과 달걀의 관계처럼 누가 먼저인지 알기 어렵다. 어느 한쪽이 먼저 깨끗하게 해결되면 자연스럽게 전체가 해결되지만 그걸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경영자도 회사가 살아남고

208, 2012

개발자의 취향

By |8월 2nd,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합리적인 결정보다는 개발자의 취향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Architecture상의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제대로된 분석과 설계를 통해서 Architecture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개발자 취향에 맞는 개발언어를 선택하고 검증이 안된 기술을 선택하면 그 Risk는 고스란히 프로젝트가 떠안아야 한다. Architecture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개발자의 취향이 아니다. 회사의

3007, 2012

허울뿐인 소프트웨어 개발자 경력 보장

By |7월 30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과거 필자가 근무했던 회사에서는 “백발을 휘날리며 개발을 할 수 있는 개발자”를 공개 채용한 적이 있다. 그 당시 수많은 경력직 개발자들이 지원을 했고 개발자로서 경력을 보장받고자 하는 열망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필자의 회사는 Technical career path를 확실하게 보장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관리를 하지 않고 개발자로서 꾸준히 성장할 수 있고 그렇게

2607, 2012

옛날에는 개발을 더 잘했는데

By |7월 26th, 2012|Categories: Blog|0 Comments

우리나라 많은 회사들은 소규모일 때 상당히 개발을 잘 하는 것처럼 보인다. 짧은 기간에 꽤 멋진 Software를 뚝딱 뚝딱 잘 만들어 낸다. 이러한 제품이 시장에서 통해서 회사가 성장을 하게 되면 그 이후로 이상하게 개발이 점점 더 어려워지게 된다. 옛날에는 고참 두 명이 이정도의 Software를 6개월만에 이렇게 잘 만들어 냈는데, 지금은 팀원이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