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s

Blogs2022-07-25T11:19:44+09:00

소프트웨어의 지혜

블로그 by 김익환

서울공대. 스탠포드 전산학 석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년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 근무. 한국에서 안랩 부사장, KAIST겸직교수등 20년간 소프트웨어 회사 개발역량 글로벌화 컨설팅 수행.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지혜” 등 5권의 저서 출간.

전규현

All of Software

블로그 by 전규현

27년간 한글과컴퓨터, 안랩 등에서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실리콘밸리의 개발 문화와 소프트웨어 공학을 국내의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는 수많은 회사에 전파하고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있다. 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과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있다.

2606, 2015

소프트웨어 번역 프로세스의 절대 원칙 (19)

By |6월 26th, 2015|Categories: Blog|0 Comments

소프트웨어를 국제화하려면 수많은 요소를 국제화해야 하지만 그 중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부분이 번역이다. 또한 가장 중요하면서 어렵다. 필자가 얘기하는 주제는 번역 그 자체를 제외한 번역을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 소스코드에서는 어떠한 함수를 사용하고, 메시지는 어떻게 추출해서 어디에 저장하고 번역가에게는 어떻게 보내고, 번역된 메시지는 소프트웨어에서 어떻게 읽어 들여서 출력할 것인지에 대한

2606, 2015

많은 소프트웨어에서 단수/복수 번역이 엉터리인 이유 (17)

By |6월 26th, 2015|Categories: Blog|0 Comments

앞으로 번역에 대해서 다룰 여러 주제 중에서 오늘은 단수/복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제화/지역화가 잘 된 소프트웨어라고 하더라도 단수/복수를 제대로 처리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우리는 단수/복수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단수/복수 처리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다. 하지만 단수/복수를 구분하는 언어권에서는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어색한 표현이 된다. 물론

2606, 2015

소프트웨어 번역이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 이유 (16)

By |6월 26th, 2015|Categories: Blog|0 Comments

이제부터 소프트웨어 국제화에서 가장 중요한 번역과 관련된 얘기를 시작하려고 한다. 번역은 다뤄야 할 주제가 광범위하므로 여러 회차를 거쳐서 다루게 될 것이다. 필자는 수십 개의 회사의 소프트웨어 국제화 방식을 조사했으며 대부분의 회사가 수많은 번역 함정에 빠져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보았다. “변역 함정”이란 소프트웨어를 번역하면서 비효율적인 방법에 쉽게 빠져서 허우적거리는 것을 말한다. 번창한

2606, 2015

독특한 달력을 사용하는 고집 센 나라들 (15)

By |6월 26th, 2015|Categories: Blog|0 Comments

미국에서 미터법을 잘 쓰지 않듯이 국제 표준이 있는데 자국만의 표준을 고집하는 나라들이 있다. 우리가 모든 나라의 문화를 다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를 비난 해서는 안된다. 다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엄청 번거로울 뿐이다. 날짜에서도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데 그레고리력을 사용하지 않는 몇몇 나라가 있다. 물론 그레고리력과 혼용을 하기도 한다. 게다가 달력은 로케일 표준 카테고리에

2606, 2015

날짜 표기 국제 표준은 무엇일까? (14)

By |6월 26th, 2015|Categories: Blog|0 Comments

지난 12회에서 국가별, 로케일별로 날짜 표기 형식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이런 방식을 따르기만 한다고 해서 날짜 표기 형식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날짜 표기 형식이 실제로 해당 국가에서 오류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입력 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혼동도 무시 못한다. 그래서 국제화가 잘 된 소프트웨어에서는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