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유니코드 인코딩이 이렇게 복잡하게 된 사연 (9)

유니코드 인코딩의 종류는 UTF-1, UTF-5, UTF-6, UTF-7, UTF-8, UTF-9, UTF-16, UTF-18, UTF-32, UTF-EBCDIC, UTF-16BE, UTF-16LE, UTF-32BE, UTF-32LE와 같이 다양하다. 지금은 사장된 것들도 있지만 초급 개발자에게는 여간 헷갈리는 것이 아니다. 애초에 ASCII가 아니고 유니코드를 사용했다면, 특히 4바이트 유니코드를 사용했다면 지금과 같이 수많은 유니코드 인코딩 때문에 헷갈거나 변환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없었을 것이다. 현재와 고대 문자만 표현한다면 3바이트로도

By |2020-07-13T10:43:59+09:006월 26th, 2015|Blog|0 댓글

한국어(한글) 코드 이야기 (8)

  유니코드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기 전에 한국어 코드(문자세트)와 인코딩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자. 1991년에 유니코드가 탄생한 후에 유니코드는 점점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시작해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물론 언젠가는 유니코드로 통일되는 시기가 올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한국어만 해도 여러 문자세트와 인코딩이 공존을 하고 있고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By |2020-07-13T10:44:26+09:006월 23rd, 2015|Blog|0 댓글

유니코드 영토 전쟁의 승리자는? (7)

이번에는 유니코드의 코드 체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소프트웨어 국제화를 필요로 하는 개발자라면 자주는 아니지만 유니코드 내부 코드 체계를 알아야 할 때가 있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개발을 할 때 폰트 등과 관련하여 문자가 깨지는 등 복잡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이때 유니코드의 체계의 원리를 아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구상의 문자를 모두 하나의 문자 코드에

By |2020-07-13T10:44:48+09:006월 16th, 2015|Blog|0 댓글

유니코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6)

소프트웨어 국제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에 대해서 필수적으로 잘 알아야 한다. 유니코드란 말을 들어보지 않은 개발자는 없지만 관련 용어가 매우 많아서 종종 헷갈린다.  게다가 유니코드가 탄생한지 20년도 더 넘었지만 아직도 세상은 유니코드로 통일이 되지 못하고 수많은 문자세트가 넘쳐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다보면 수시로 문자가 깨지고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유니코드를 비롯해서 문자세트와 인코딩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기회를 가지려고 한다. 먼저,

By |2020-07-13T10:45:06+09:006월 9th, 2015|Blog|0 댓글

외국에서 팔리는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 디자인 원칙 (5)

김과장은 그 동안 한국어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A를 개발해 왔는데 최근에 사장님이 A의 일본어 버전을 만들라고 했다. 그리고 개발 기간도 한달 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기존 소스코드를 복사해서 한국어가 들어 있는 모든 부분을 일본어로 고치기 시작했다. 밤을 새워가며 고친 덕분에 일주일안에 모든 문장을 일본어로 수정할 수 있었다. 그래서 테스트를 포함하여 2주일만에 일본어버전을 뚝딱 만들어냈다. 빨리 개발했다고 사장님께 칭찬도 들었다.

By |2020-07-13T10:45:24+09:006월 2nd, 2015|Blog|0 댓글

소프트웨어 개발자 성장에 꼭 필요한 리뷰

우리나라 개발자들은 프로그래밍은 잘 하는데 대접을 못 받는다는 얘기가 있다. 또, 머리는 좋은데 환경이 나쁘다는 얘기도 있다. 젊은 개발자들은 외국의 개발자들에 전혀 뒤지지 않는데 나이를 먹을수록 실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도 있다. 이런 얘기를 들어보면 우리나라에서 개발자는 나이를 먹을수록 할만한 직업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자는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 중 하나로 리뷰를 잘 안 하는 문화를 꼽고

By |2020-07-13T10:45:48+09:005월 27th, 2015|Blog|0 댓글

외국에 출시한 소프트웨어가 날짜 때문에 낭패 본 사연 (4)

10년차 개발자인 김과장(가상의 인물)은 최근에 소프트웨어를 영어를 지원하도록 만들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모든 메시지(메뉴, 버튼, 다이얼로그 등)를 영어로 번역했다. 그렇게 해서 영어버전을 출시했는데 얼마 안 가서 버그가 보고 되었다. 날짜를 2015/05/15 이렇게 표시를 했는데 미국에서는 05/15/2015로 표기해 달라는 것이다. 김과장은 소스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서 버그를 해결했다. if (locale == “en_US”)      date_format = “mm/dd/yyyy”; else

By |2020-07-13T10:46:07+09:005월 26th, 2015|Blog|0 댓글

독일어 버전 소프트웨어란 말이 잘못된 이유 (3)

본 시리즈는 차례대로 읽으면 소프트웨어 국제화가 전체적으로 이해가 되어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려고 하고 있다. 개발자마다 지식과 경험이 천차만별이라서 초급 개발자를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다. 경영자가 개발자에게 독일어 버전을 만들라고 하면 어떨까? 대부분은 콩떡 같이 말하면 찰떡같이 알아듣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틀린 얘기다. 정확한 표현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 낫겠다. 우리는 우연히 한 국가에서 하나의 언어만 쓰고

By |2020-07-13T10:46:24+09:005월 19th, 2015|Blog|0 댓글

소프트웨어를 외국에 출시 하면서 흔히 빠지는 함정 (2)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중에서 외국에서 크게 성공했다고 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는가? 온라인 게임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사실 게임은 국제화, 지역화를 잘 못하더라도 큰 흉이 안 된다. 하지만 그 외의 많은 소프트웨어들은 제품이든 서비스든 국제화, 지역화에 실패하여 해외 시장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럼 소프트웨어 회사들, 개발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실수를 알아보는 것은 같은

By |2020-07-13T10:46:44+09:005월 12th, 2015|Blog|0 댓글

외국에서 팔리는 소프트웨어 만들기 위한 소프트웨어 국제화 (1)

가장 먼저 소프트웨어 국제화에 대한 이야기로 글을 시작하려고 한다. 오래 전부터 소프트웨어 세계에는 국경이 없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수십 나라에서 개발된 다국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앱을 하나 개발해서 앱스토어에 올리면 바로 다음날부터 전세계 수십, 수백 나라에서 즉시 사용된다. 이제 소프트웨어 국제화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이다. 소프트웨어 국제화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십 수년의 공부와 경험이

By |2020-07-13T10:47:03+09:005월 5th, 2015|Blog|0 댓글